조건별 개수 세기 함수 활용법
엑셀에서 조건에 따른 개수 구하는 함수 사용하기 엑셀은 데이터 분석에 있어 강력한 도구입니다. 특히,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기능은 많은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엑셀에서 조건에 따른 개수를 구할 수 있는 방법, 특히 COUNTIF와 COUNTIFS 함수를 중심으로 다뤄보겠습니다. 또한, 실생활에서 어떻게 이러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예시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. COUNTIF 함수란? COUNTIF 함수는 주어진 범위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입니다.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 다음은 COUNTIF 함수의 기본 구문입니다. ``` COUNTIF(범위, 조건) ``` 여기서 범위 는 조건을 검사할 셀의 범위를 의미하고, 조건 은 셀에서 찾고자 하는 내용을 지정합니다. 예제 1: 특정 점수를 가진 학생 수 세기 가령, 학생들의 점수를 나열한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합니다. 해당 데이터에서 80점 이상의 점수를 가진 학생 수를 세어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COUNTIF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```excel =COUNTIF(A2:A20, ">=80") ``` 이 함수는 A2에서 A20까지의 범위에서 80점 이상인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. COUNTIFS 함수란? COUNTIFS 함수는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입니다. 여러 조건을 추가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COUNTIFS 함수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. ``` COUNTIFS(범위1, 조건1, 범위2, 조건2, ...) ``` 각 범위와 조건을 쌍으로 나열하여 조건을 추가해 나갑니다. 예제 2: 특정 과목에서 특정 점수 이상의 학생 수 세기 이제 수학과 영어 점수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수학 점수가 75점 이상이고, 영어 점수가 80점 이상인 학생 수를 세고 싶다면 다음과 같...